상속세 개편, 어떤 것이 맞나? (2025년 정부 vs 민주당 개편안)

 

2025년 현재,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이 각각 상속·증여세 개편안을 제시하며 논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개편안을 비교하여 정리하고, 주요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정부의 상속·증여세 개편안

  • 유산취득세 도입: 현행 유산세 방식에서 유산취득세 방식으로 전환하여, 상속인별 과세로 세 부담 완화
  • 상속인별 공제 확대: 상속인별 공제 한도를 높여 중산층 부담 완화 (구체적 금액 미정)
  • 최고세율 인하 없음: 상속세 최고세율 인하 제외
  • 기업 승계 관련: 가업 승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가업 상속 공제 제도 개선 검토

더불어민주당의 상속·증여세 개편안

  • 상속세 공제 확대: 상속 일괄 공제 5억 → 8억 원, 배우자 공제 5억 → 10억 원으로 상향
  • 최고세율 인하 반대: 상속세 최고세율 인하를 반대하며 현행 유지
  • 부동산 상속세 완화 주장: 부동산 가격 상승에 따른 부담 완화
  • 가업 상속 제도 유지: 가업 승계 시 공제 혜택을 유지하면서 투명성 강화

비교표

항목 정부 개편안 더불어민주당 개편안
과세 방식 유산세 → 유산취득세 전환 현행 유산세 유지
상속세 공제 상속인별 공제 확대 (구체적 금액 미확정) 일괄 공제 5억 → 8억, 배우자 공제 5억 → 10억
최고세율 인하 없음 (현행 유지) 없음 (인하 반대)
부동산 상속세 별도 언급 없음 부동산 상속세 완화 주장
기업 승계 관련 가업 상속 공제 제도 개선 검토 가업 승계 시 공제 혜택 유지
정책 방향 조세 형평성과 중산층 부담 완화 중산층 부담 완화 및 부동산 고려

결론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의 개편안은 상속세 부담 완화라는 공통된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접근 방식과 세부 내용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조세 형평성과 중산층 부담 완화라는 목표를 균형 있게 고려한 정책이 필요합니다.

참고 자료